<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한반도 연최대 일강우 분석

Analysis of Annual Maximum Daily Rainfall Us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 in Korean Peninsula

상세내역
저자 권민성, 이규민, 전경수
소속 및 직함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학술지 한국방재학회논문집
권호사항 15(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9-11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기후변화   #RCP 시나리오   #강우빈도   #연최대 일강수   #권민성   #이규민   #전경수
조회수 1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에서는 RCP 시나리오에서 제공하는 한반도 일강우 자료를 분석하고, 현재 기준의 강우 분포형에 시나리오 연최대 일강우를 적용하여 재현기간을 산정함으로써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예측하는 극한 강우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RCP 시나리오와 최근 강우를 비교하기 위해 1981~2010년(SP0)까지 결측자료가 없는 일강우를 보유한 남한 61개, 북한 27개 (총 88개)의 강우관측소를 분석 대상 강우관측소로 선정하였고, RCP 시나리오의 구간을 2011~2040년(SP1), 2041~2070년(SP2), 2071~2100년(SP3) 세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구간별 연최대 일강우의 평균과 최대치를 이용하여 RCP 시나리오 간 비교 및 최근 관측자료 (SP0)와 RCP 시나리오를 비교하였다. 또한 SP0 구간의 지점별 Gumbel 분포의 매개변수를 확률가중모멘트법으로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RCP 시나리오의 구간별 최대치의재현기간을 산정하였다. 모든 시나리오와 구간에서 평균이 증가하는 지점보다 최대치가 증가하는 지점이 많으며, 북한이 남한보다 평균이 증가하는 지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구간 최대치의 재현기간이 300년 이상인 지점의 비율은 SP1 14%, SP2 28%, SP3 35%이고, 특히 300년 이상 재현기간 중 1,000년 이상의 재현기간 비율이 SP1 64%, SP2 63%, SP3 6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