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이 글은 1980년대 한국의 민주화 운동 세대들에게 영향을 준 번역문학(서사)의 유형과 그 특징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권력이 금지한 판금도서 목록 속 번역문학과 민주화운동아카이브 자료 중에서 각종 운동단체들이 교육의 교재로 활용한 번역문학 목록을 추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세대에게 영향을 끼친 번역문학의 주제가 제3세계의 모순과 저항을 형상화한 문학으로부터 점차 남미, 러시아, 동유럽, 중국 등의 성공한 사회주의 혁명을 다룬 서사와 혁명가의 전기 쪽으로 이동했으며, NL노선이 대중화되는 1980년대 후반부터 북한 및 중국조선족 문학 번역 붐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며 ‘개인성’에 대한 옹호와 더불어 1980년대적인 것은 집단주의적 억압과 도그마의 기억으로 타자화되었지만, 그것이 ‘공공성’의 개념으로 재역사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