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통일보도, 평가, 사회심리적 변인이 통일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통일세금 납부의도, 햇볕정책/평화통일지지 정당 및 후보에 대한 투표의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unification Coverage, Evaluation,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Reunification-Related Behavior Intention

상세내역
저자 이화행, 정성호, 강경수, 최진호, 이정기
소속 및 직함 동명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언론학회
학술지 한국언론학보
권호사항 59(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2-92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통일보도   #통일보도 구성요건   #통일 인식   #통일지지 행동   #계획행동이론   #이화행   #정성호   #강경수   #최진호   #이정기
조회수 2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통일보도(북한이나 통일 관련 뉴스)에 대한 이용(노출)량(지상파 방송, 신문, 인터넷, 종합편성채널)과 통일 뉴스의 구성요건(객관성, 시의성, 선호도, 공정성), 그리고 통일에 대한 인식(통일 긍정 인식, 기간적 거리감, 정부 통일 정책 만족도)이 통일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통일보도(북한이나 통일 관련 뉴스) 이용(노출)량은 인터넷, 지상파 방송, 종합편성채널, 신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용자들의 통일보도 이용(노출)량과 뉴스 구성요건의 평가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통일세금 납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터넷 이용(노출)량, 통일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정부 정책에 대한 만족도, 통일지지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이었다. 한편, 햇볕정책 및 평화통일지지 정당 및 후보에 대한 투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진보적인 정치성향, 진보신문과 인터넷에 대한 이용(노출)량, 통일보도에 대한 선호도, 통일에 대한 긍정적 인식, 통일지지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일 관련 행동의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캠페인 전략에 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