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중・고령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체적 건강, 사회적 지지와 이를 매개하는 고독감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 인적정보 DB를 활용하여 50세 이상의 중・고령 북한이탈주민 215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 중・고령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은 2.84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체적 건강, 사회적지지, 고독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독감이 이들 독립변수들과 탈북 중・고령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구조방정식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기 심리적 지원을 통한 외상치료, 다양한 사회적 지지의 제공, 건강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및 처방, 사회체육 활동과 지역사회의식 및 참여 제고 등을 통해 탈북 중・고령자들이 고독감을 낮추어 주고, 이를 통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낮추어주어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