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의 ‘大同江文化論’과 고조선인식 검토

Studies on the Taedonggang Culture and Old Joseon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조법종
소속 및 직함 우석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학술지 선사와 고대
권호사항 (4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9-7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대동강문화   #단군릉   #비파형동검   #고인돌   #고조선   #신석기문화   #청동기문화   #요하문명   #홍산문화   #조법종
조회수 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학계가 1993년 단군릉 발굴 이후, 1998년 새롭게 제기한 ‘대동강문화’는 ‘대동강 유역 문화’를 줄인 말로 평양을 중심으로 한 대동강 유역이 인류 고대문명의 발상지이자 중심지로서 세계 4대문명에 비견되며 기원전 4천년 후반기에 문명사회로 변화, 발전하였다는 것이다. 대동강문화의 내용은 대동강유역의 신석기문화와 단군릉, 비파형동검문화로 대표되는 청동기시기의 부락, 성곽, 고인돌문화 등으로 집약된다. 이 내용은 북한학계의 고조선연구사에서 기존 고조선 요동중심설에서 평양중심설로 전환된 획기적 사건이며 단군을 역사화한 이래 평양을 중심으로 구석기이래 우리 민족의 중심거점이 대동강변 평양일대였음을 강조하는 논리였다. 이 논의는 북한 고고학계가 중심이 되어 추진하였는데 평양성지화를 통해 민족시조 단군-동명왕-왕건-김일성으로 연결되는 북한의 역사적 정통성과 공간적 성역화를 추진하는 목적의 결과물이었다. 한편 이는 북한 고대사의 민족주의 색채를 완성시켜가는 일련의 과정으로 중국이 추진한 요하문명론과 정치적 목적성에서 유사성을 띠고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