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 Study on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Geumgangsan Tourism Project

상세내역
저자 채종훈
소속 및 직함 조선대학교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학술지 국제지역연구
권호사항 19(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3-17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금강산관광사업   #산업연관분석모형   #경제적 파급효과   #각종 승수   #채종훈
조회수 15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0여 년 동안 이루어진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 경제적파급효과를 산업연관분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고, 향후 그 동안 중단되었던 금강산관광사업이 재개될 경우 남북한 양측의 금강산관광사업을 통한 경제적 효과 극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금강산관광사업의 시행에 따른 관광기반조성산업 투자지출 및 관광객 최종소비지출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절차를 따랐다. 첫째, 한국은행에서 2010년에 발간한 전국산업연관표를 관광기반조성산업과 관광산업으로 재분류하여 27×27 부문으로 재작성 하였으며,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관광산업은 관광쇼핑(소매업) 등 10개 부문으로 세분화하여 재구성 하였다. 둘째, 통합된 산업연관표로부터 생산유발승수, 부가가치유발승수, 소득유발승수, 고용유발승수를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승수와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산업에 대한 관광기반조성산업 투자지출 및 금강산관광객 최종소비지출을바탕으로 남북한경제에 미치는 총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금강산관광사업 시행기간동안(1998.11~2008.7) 관광기반조성사업 투자지출 3,881억 원과 금강산관광객의 소비지출 7,378억 원이 최종 지출되어 남한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23,777억 원,부가가치 유발효과 14,019억 원, 소득유발효과 2,736억 원, 고용창출효과 8,969명이 발생하였다. 이는 금강산관광사업 시행기간동안(10년) 총 23,77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여국내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북한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소비지출 4,400억 원이 발생하여 북한경제에 유발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7,378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388억 원, 고용창출효과 4,323명이 발생하였다. 따라서이러한 남북한경제 파급효과를 고려할 경우 금강산관광사업의 재개는 반드시 필요하며 재개를 위한 남북한 양측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