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기록영화의 통사(通史)적 접근: 정치·사회적 맥락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Survey of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A Focus o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상세내역
저자 김승
소속 및 직함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심연북한연구소
학술지 현대북한연구
권호사항 18(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0-127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기록영화   #북한기록영화사   #북한영화사   #북한영화   #북한 문학예술   #김승
조회수 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통사적 관점에서 북한의 기록영화가 정치·사회적 맥락에 따라어떤 역할과 기능을 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더불어 북한의 기록영화촬영소가 당의 요구에 따라 조직과 편제를 변모시켜왔다는 데 주목하고제작기관의 시대적 변화를 추적한다. 이를 위해 북한 기록영화사에 대한시기를 구분한 후에 북한 문헌분석을 통해 그 역사적 전개과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북한 기록영화사는 크게 네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역사적 전개과정의 특징은 첫째, 당면한 정치적 요구에 따라 주제와 형식의 변화를보였다. 특히 최고지도자의 현지지도 업적을 수록한 영화문헌은 북한 기록영화의 독특한 장르 형식으로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새로운 장르를형성하고 있었고, 주제의 다양화를 통해 부단히 인민성 향상에 관심을두고 있었다. 둘째, 기록영화촬영소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많은 변천을거듭하였다. 즉, 기록영화촬영소는 해당 시기마다 당의 정치적 요구에 따라 그 사명을 실천하는 데 유리한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글은 통사적 접근을 통해 북한 기록영화의 정치·사회적 함의를 밝힘으로써 북한 기록영화 변천 이해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각 시기별로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