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분단은 남과 북에 있어서 인권을 제약하는 가장 큰 한계상황이다. 한국교회가 사회적 실천으로 시작한 인권운동이 통일선교를 지향하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최하층 노동자와 도시빈민 등을 위한 인권운동에 나섰던 한국교회는 진보적 선교관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분명한 반공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안보담론을 내세운 정권이 독재체제 유지를 위해 이념공격으로 인권운동을 탄압하자 인권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서 분단문제 극복이 절실해졌다. 진보적 교회들은 반공주의에 매몰되어 있었던 과거를 반성하며 1980년대 남북교회교류를 통해 통일선교에 나섰다. 한편 1994년 김일성주석 사망이후 연이어 발생한 자연재해로 북한은 최대 위기를 맞는다. 대량 아사가 발생하자 보수적 교회들도 북한지원에 나서며 통일선교에 동참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자유로운 포교활동을 추구하는 보수적 교회 일각에서 북한인권법제정운동과 북한민주화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그러나 3대째 세습을 이어오고 있는 북한정권이 철저하게 사회를 통제하는 상황에서 외부로부터의 민주화운동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교회는 북한교회의 복원과 강화를 통해 북한주민들의 인권을 개선시켜나갈 수 있다. 북한교회의 진위성 논란을 뒤로 하고 제도권 교회들의 역량을 키워 지역사회를 지원도록 하는 것이다. 통일선교 확산은 북한인권개선을 위해서도 중차대한 토대가 될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