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신안보상황에서의 대한민국 안보 형사사법시스템에 대한 재조명

A review on National Security Criminal Justice System of Republic of Korea in the new security situation.

상세내역
저자 윤해성
소속 및 직함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발행기관 한국경찰연구학회
학술지 한국경찰연구
권호사항 14(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39-372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국가안보   #신안보주의   #테러리즘   #법집행기관   #안보형사절차특례   #윤해성
조회수 2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9․11 테러 이후 전 세계적으로 국가안보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 형성과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안보 선진국들은 뼈아픈 경험과 교훈을 바탕으로 국가안보에 대한 신안보주의적 인식을 적극 수용하여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실현하거나 고심 중에 있다. 최근 안보범죄 수법은 과거 획일화된 수법이 아닌 점차 지능화되고 국제적인 양상을 보이면서 세계 평화주의를 위협하고 있다. 더구나 안보범죄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후적 대응보다는 사전적 예방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그 피해는 실로 국가의 존립과 안위를 흔들릴 정도로 엄청나다. 게다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안보범죄의 수법은 진일보를 넘어 말 그대로 첨단수법으로 무장되고 있다. 이에 선진 각국은 신안보상황을 적극 인식하여 정보수집을 위한 사전적 대응을 제도화하고 아울러 정보수사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신안보상황에서 우리나라의 현 위치는 남한과 북한의 분단이라는 지리적 상황에 처하고 있으면서 지리적 한계가 존재하지 않는 국제적 테러에 대한 위협도 동시에 안고 있다. 이와 같이 세계정세가 신안보주의적 경향에 입각해 있는데도, 현재 우리 형사사법제도는 수사기관이나 정보기관과 같은 법집행기관의 수사여건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안보선진국이라고 일컬어지는 각국은 안보범죄를 경험해서야 비로소 예방적 차원에서 정보 수집에서 공유, 그리고 법집행기관의 기능강화를 추구하기 위하여 실로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여 관련 법제와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신안보상황에서 선진 각국의 안보 형사 법제를 살펴본 후, 구체적으로는 각국의 내수사 과정과 체포․구속 및 증거수집 과정 등에서의 사법절차상의 안보 형사절차 특례 조항을 중점적으로 조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