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는 백두산을 ‘중국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있다. 우선 백두산의 명칭을 ‘장백산’으로 통일시키기 위해 1998년 출판된 지도책부터 ‘백두산 천지’를 ‘장백산 천지’로 바꾸었다. 또한 백두산 지역에 소재한학교들의 명칭에 장백산 명칭을 붙여 학생들로 하여금 장백산에 대한 귀속의식을 강화시키려고 한다. 2000년 이후 중국학계에서는 “중국의 역대 왕조가장백산을 관할해왔으므로 장백산은 중국의 역사문화권에 속한다”는 ‘장백산문화론(長白山文化論)’을 주창하기 시작했다. 중국공산당 선전부에서는 각 지역에 ‘장백산문화연구회’라는 학회를 조직하고, 백두산의 중국 귀속권을 주장하는 논문들을 양산하도록 유도한 뒤 ‘장백산문화론’을 적극 선전하고 있다. 2005년에는 백두산 지역을 ‘장백산보호개발지구’로 개편하고 ‘장백산보호개발구관리위원회’라는 지방정부를 신설해 백두산의 보호·개발·관리·이용을 일원화했다. 이와 아울러 중국정부에서는 백두산을 중국의 세계자연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게다가 “백두산 =만주족의 발상지”라는 논리를 주창하고 그것을 확산시키기 위해 전문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만주족의 조상을 모신 사당(청조사)을 세워 국내외 관광객에게 백두산이 만주족의 뿌리임을 각인시키고 있다. 그리고 백두산사당(장백산신사)을 세워 청대 황제들의 백두산 제사행위를 재현해 백두산에 대한 중국의 민족적·문화적 연고권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고 있다. 결국 ‘백두산의 중국화’를 위한 중국의 전략적 조치들은, 남북한의 백두산 성산인식을 부정하고, 백두산과 한반도의 역사적·문화적 연관성을 단절시켜, 백두산에 대한 중국의역사적·문화적·민족적 귀속권을 강화시키려는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