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최근 한국과 스페인의 소설에 나타난 내전의 기억: 서사적 특징과 사회적 함의에 대한 비교연구

Memories of Civil War and its Representation in Recent Korean and Spanish Novels: A Comparative Study

상세내역
저자 임호준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세계문학비교학회
학술지 세계문학비교연구
권호사항 (5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85-21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6.25   #스페인 내전   #한국 전쟁소설   #스페인 내전소설   #임호준
조회수 2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국과 스페인은 20세기 초중반 내전 성격의 전쟁을 겪은 공통적 경험이 있다. 이 연구는 내전을 겪은 지 60-70년이 지난 시점에서 현재의 세대가 선조대의 전쟁을 어떻게 기억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 1990년대 말부터 출판된 각국의 소설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이전 시기의 소설에 대해서도 비교 검토해 보았는데, 종전 후 양국 모두 철저한 반공주의가 지배함으로써 작가들은 자신이 겪은 바, 느낀 바를 마음대로 쓸 수 없었던 시기를 거쳐야 했다. 상당한 시간이 지나서야 작가들은 이데올로기적 제약에서 벗어나 각자의 주관대로 전쟁을 서술할 수 있었다. 전쟁을 온전하게 체험한 1세대의 작가들에 비해, 전쟁 시기에 유아나 소년에 불과했던 2세대의 작가들은 전쟁에 대해 간접적이고 불완전한 지식을 갖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다보니 이들의 작품 역시 이데올로기적으로 왜곡되는 측면이 있었다. 이 연구가 살펴보는 1990년대 후반부터의 작품은 종전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 태어난 3세대 작가들의 것으로서 탈냉전 시대 상황을 반영하듯 이전시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우선은 이데올로기적으로 자유롭다는 것인데, 전쟁의 당사자들이 품었던 이데올로기적 열정에 지극히 냉소적이다. 한국의 3세대 작가들은 전쟁은 물론 분단의 상황을 넌센스로 보고 있으며 스페인 젊은 작가들 역시 스페인 내전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작품에서 같은 국민 사이의 화해는 일반적인 경향이다. 다만 한국소설에서의 화해가 다소 추상적이고 이상화된 양상을 보인다면 스페인 소설에서의 화해는 더욱 구체적이고 상징적인 모양으로 등장한다. 이것은 분단이 지속되고 있는 한반도의 현실과 2000년대에 들어 역사기억법 제정을 둘러싸고 사회적 논란을 빚은 스페인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장차 남북한이 통일되면 6.25 동란에 대해 여러 면에서 사회적 논의가 벌어질 것이고 문학도 이를 반영하게 될 것인바, 이때 스페인의 문학은 한국에 중요한 참조가 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