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으로 본 북한사회 내 정보 이동성과 커뮤니케이션 구조 분화

The Division of Communication Structure and Information Mobility through Actor-Network Theory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곽정래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지 사회과학연구
권호사항 26(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63-389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행위자-연결망 이론   #인간-비인간 행위자   #이종적 행위자-연결망   #정보 이용 사사화   #후견인제도의 일상화   #시공간의 사회적 재구성   #곽정래
조회수 1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한반도 주변국들의 급속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발전과 더불어 북한의 대내외 경제 및 국제 환경 변화로 인해 북한 내외부 연결망에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이 참여함으로써 나타난 현상과 특징을 통해 블랙박스화된 북한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최근까지 북한사회 내 다양하고 역동적인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의 연결망을 추적하여 북한 커뮤니케이션 체계 속에서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사회 내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이 새로운 연결망으로 포획되면서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일상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은 생존 연결망, 경제 연결망, 정보 연결망과 상호 조응하면서 새로운 권력과 저항적 실천 담론을 생산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사회 내 행위자-연결망은 폐쇄적인 공간과 지역이 다층적으로 교차되고, 개방성, 관계성, 통치성이 확대됨과 동시에 연결망을 통한 시간과 권력의 재구조화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행위자들이 북한사회 내 형성된 연결망을 통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재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체된 북한 커뮤니케이션 구조에서 나타난 새로운 행위자-연결망의 탈구와 착종 현상은 정보 이용 사사화, 후견인제도의 일상화, 시공간의 사회적 재구성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