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비주얼 리터러시 관점에 따른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변화 연구 - 한국 도덕교과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extbook Illustration in the aspect of Visual Literacy -focused on elementary moral textbook in Korea-

상세내역
저자 이은주
소속 및 직함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
발행기관 한국기초조형학회
학술지 기초조형학연구
권호사항 16(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67-481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비주얼 리터러시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   #시각전달 관점   #시각분석   #이은주
조회수 15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사회와 매체의 환경이 변화하고 시각적 이미지의 비판적 해석과 수용은 곧 창의적인 생산능력이라는 비주얼 리터러시의 관점으로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돈디스가 제시한 시각정보 단계에 따른 비주얼 리터러시 전달요소는 의미를 담기위한 상징, 정보의 기능을 수행하는 재현적 매체, 가장 중요한 시각적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구조의 3 가지 개별적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기능에 대한 유형들을 형상, 크기, 색채, 동세, 젠더, 공간 6 가지 요소로 분류하였다. 1990 년대를 전후로 2 차와 7 차의 도덕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선정하여 국가, 사회, 개인 유형별로 비주얼리터러시가 어떻게 표현적, 상징적 기능을 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시각 상징으로 2 차는 국민과 권력자, 자유와 억압, 부모와 자녀의 윤리적 도리, 학생과 선생님의 상하관계 등으로 나타났으며 7 차에서는 남북한의 분절된 국가, 이웃과 부모, 자녀의 사회적 관계, 개인과 집단 책임의 상징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재현적 매체로 2 차에서는 수채화표현이 주로 나타났고 7 차에는 수채화, 혼합기법과 만화적 표현 등이 나타났다. 세 번째, 힘, 권력 관계를 상징하는 형상은 크고 중앙 구도에 위치하며 능동적 제스처, 무채색, 푸른톤 색채로 표현되었다. 반면 7 차에서 국가는 남성적 캐릭터로 표현되었으며 사회에서 색채는 부드러워지고 배경을 단순화하고 형상을 강조하였다. 2 차에서는 서구식 외형표현과 달리 상하관계의 전통적 표현으로 대비되어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국가 유형은 형상, 동세 변화가 두드러지지만 사회는 형상, 크기, 동세가 유사하며 색채는 차이를 보였다. 개인 유형에서는 집단보다 개인의 형상과 크기, 동세를강조하는 표현으로 변화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