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한글의 문장부호는 1933 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될 때 라틴 알파벳의 문장부호를 차용한 문장부호를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한글 문장부호가 1960 년대부터 널리 사용되었다 보더라도 그 역사는 50 여년 밖에 되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 문장부호의 흔적을 살펴보고 역사적 개연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한글 문장부호디자인 시스템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5 년 현재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있는 한글 문장부호 25 가지로 하였다. 그리고 분석을 위해 새로운 한글 문장부호 시스템을 수립하였으며, 이 시스템으로 디자인한 문장부호들을 한글 문장부호 세칙안에 적용하였다. 2 장에서는 훈민정음을 반포하기 이전 사용되었던 각필구결의 문장부호 기능을 살펴보고 훈민정음 해례본에서의 구점과 두점, 한글 맞춤법 통일안 이전 발견되는 한글 문장부호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나타난 한글 문장부호와 북한의 문장부호를 살펴보았다. 3 장에서는 한글 서체회사의 문장부호디자인을크기, 무게, 너비, 글자사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4 장에서는 각필구결에 사용되었던 구조도를 새로운 한글 문장부호디자인 시스템에 적용하여 제안하였다. 우선, 한글 문장부호디자인의 형태체계 원리를 설명하고 한글 문장부호디자인의 제안 방향을 설정하고 기본체계와 응용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문장부호 세칙안에 적용하여 새로운 한글 문장부호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한글 문장부호의 개발 방향은 네 가지로 요약된다. 1) 각필의 형태에서 오는 한글 문장부호의 형태적 독창성, 2) 가로짜기용과 세로짜기용 문장부호의 형태적 동일성, 3) 한글 문장부호의위치별 재분류로 인한 디자인의 일관성, 4) 본문의 크기를 강조해 주는 문장부호의 변별성을 가지고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