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핵 문제에 대한 요한 갈퉁의 갈등 이론적 접근

Study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ased on Johan Galtung’s Conflict Theory

상세내역
저자 고영은
소속 및 직함 영남신학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실천신학회
학술지 신학과 실천
권호사항 (4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01-73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갈등 이론   #북한 핵   #한반도 평화   #갈등 인자   #문화적 폭력   #고영은
조회수 1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북한 핵 문제에 대해 평화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시도하였다. 1993년부터 시작된 한반도의 위기는 항상 핵 문제가 그 중심을 차지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북한의 핵 문제는 해결될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첨예하게 대립된 남북간의 문제이면서, 국제적인 문제이기도 한 북한 핵 문제를 요한 갈퉁의 갈등이론을 중심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핵 개발과 핵무기 문제는 단지 자기 방어적 수단이 아니라 파괴와 폭력의 수단이며, 연쇄적 파괴 속성을 가지고 있기에 재래식 무기가 아닌 절대적 무기에 속한다. 따라서 북한 핵 무기와 관련된 갈등과 폭력의 속성들을 파악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갈퉁의 갈등이론을 파악하고, 평화적 수단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갈퉁은 갈등을 평화의 방해요소라고 인식하고, 갈등의 유발 원인을 ‘갈등 인자’로 분류하였다. 갈퉁은 갈등을 평화의 방해요소로만 보지 않고 긍정적인 면에서 평화의 에너지로서 본다는 점이다. 이러한 갈등을 갈퉁은 ‘창조적 갈등의 전환’으로서 이해하고 있다. 갈퉁의 이러한 갈등이론을 파악하고 갈등과 폭력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북한 핵을 둘러싼 갈등과 대립, 그리고 문화적인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고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북한 핵 개발을 놓고 볼 때 국제적 핵 문제이기도 하지만 북한 내부적 갈등과 폭력이 갈퉁의 이론에 따라 폭력 유형적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북한 핵을 개발하게 된 문화적이며 구조적인 폭력과 갈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본 논문은 갈퉁의 갈등 이론적 특성을 통해 평화적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북한 핵을 둘러싸고 남북한의 상호적인 이해관계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공생적 관계가 되게 하기 위해서 서로의 평화적인 목적 추구 방향을 찾아 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한반도 내 핵 문제를 둘러싼 갈등 해결은 핵 문제 해결과 더불어 남북한의 공생관계를 유지하도록 해주고 회복시켜줄 수 있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북한 핵을 둘러싼 갈등과 폭력적인 구조는 평화와 통일을 위한 문화적 평화 구축을 이루어 가고, 남북한의 상호 목적추구를 위해 평화적 목적을 상호 성취시켜 나간다면 보다 더 견고한 한반도 평화가 도래하게 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