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경계인 이론을 통한 남한 정착 북한이탈주민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New Methologic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Marginal Man Theory

상세내역
저자 윤보영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사회과학연구원
학술지 사회과학연구
권호사항 22(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87-21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로버트 파크   #경계인   #경계성   #경계문화   #북한이탈주민   #윤보영
조회수 1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국사회는 1990년 이후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자녀, 유학생,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 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을 둘러싼 편견과 차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경계인 이론(Marginal man theory)은 미국 시카고학파의 로버트 파크 (Robert E. Park, 1864~1944) 에 의해 공식화되고 에버렛 스톤퀘스트(Everett V. Stonequist, 1901~1979)에 의해 발전된 이론이다. 경계인은 이중문화 혹은 다문화 상황 속에서 탄생한다. 한 문화에 의해 형성되고 틀이 짜인 사람이 이주, 교육, 결혼 등 과 같은 이유로 다른 문화와 접촉하게 될 경우, 혹은 태어나자마자 둘 이상의 역사전통, 언어, 정치적 충성심, 도덕적 규율, 혹은 종교에 노출될 경우 그는 두 문화 모두에온전히 속하지 못하고 각 문화의 가장자리에 놓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그가 소수나 하등그룹에서 강하고 지배적인 그룹으로 이주한 경우, 약한 무관심 혹은 거들먹거리는 배려에서부터 통렬한 경멸에 이르기까지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편견과 차별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둘러싼 상황에 대한 이해를 시도함으로써 이들이 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경계인 이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