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남북한 초ㆍ중등 교과서의 전문용어를 통일할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을 남북한 전문용어 통일의 실례에 적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문용어 정비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투명성, 경제성, 고유성, 일의성, 일관성, 국제성, 문법성, 생산성, 친숙성, 윤리ㆍ미학성’의 10가지 기준으로 선정하고 용어를 통일하였다. 그리고 이 기준의 정의ㆍ특성ㆍ선정 근거ㆍ실례 적용을 다루었다. 투명성이란, 그 용어만 보고서도 용어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경제성이란, 음절수가 짧은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고유성이란, 고유어인 전문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일의성이란, 한 용어가 한 개념에 대응되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일관성이란, 개념의 체계와 용어의 체계가 일관된 방식으로 대응된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국제성이란,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문법성이란, 형태론적, 통사론적, 음운론적 규범을 따르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생산성이란, 더 많은 단어를 생산해 낼 수 있는 구성 요소를 가진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친숙성이란,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문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윤리ㆍ미학성이란, 비속의 내용이 들어가 있지 않은 것과 더 미학적으로 곱게 다듬어진 내용이 들어가 있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각 기준이 각각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통일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과 각 기준을 실례에 적용할 때 가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식을 제시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