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동북아에서 중국의 강자로의 부상, 일본의 우경화, 미-일 동맹의 강화 등으로 인한 지역의 역학구도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속에서 한국이 추구해야 할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북아 지정학의 변화는 중국의 부상과 그에 대응한 일본의 우경화로 인한 중-일 갈등의 격화, 그리고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는 미국의 아시아 회귀정책과 미일동맹 강화 정책 등에서 배태되고 있다. 그 와중에 한반도에서는 북한이 핵 발전을 통한 강성대국을 외치고 있다. 이런 지정학적 변화의 시기를 맞아 한국도 강대국 갈등의 틈바구니에 휩쓸려 끌려 다니지 말고 주도적으로 새로운 전략을 구상하여 새로운 지정학적 틀 짜기에 나서야 한다. 한국은 중-일 갈등과 미-중 갈등의 틈바구니에 끼인 샌드위치 신세를 벗어나 한반도에서 주도적인 ‘한반도 이니셔티브’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한반도 이니셔티브 전략은 주변 강대국 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만, 한국의 전략이 반대로 주변 강대국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적극적인 사고를 전제로 한다. 한반도의 새로운 이니셔티브 전략 수행을 위해 중-일 갈등과 미-중 갈등을 분석해본다. 최근 중-일 갈등은 더욱 격화되었는데 일본의 대중정책을 협력적 포용과 연성견제, 경쟁적 포용과 경성견제로 나누어 볼 때, 아베의 우경화로 대중정책은 후자 쪽으로 기울었다. 한반도 이니셔티브의 수행을 위해서는 전자의 정책이 더욱 친화성이 있다. 역설적으로 한반도 이니셔티브가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중-일 관계도 전자로 이동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중 관계는 양국이 충돌과 대립을 회피하고 협력을 도모하는 ‘신형대국관계’에 합의한 바 있으므로 한반도에서도 한국이 미-중 사이의 균형정책을 취하여 양국이 한반도 문제에 관해 균형을 이루고 합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이 한반도 문제에서 주도권을 가지는 것이 미-중의 신형대국관계가 한반도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길이다. 결론적으로 한반도 이니셔티브의 내용은 한국이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주도적으로 다음 세 가지의 정책을 수행하는 것이다: 1. 미-중간의 균형정책, 2. 대북관계의 획기적 개선과 남북 경제공동체 수립을 위한 진전, 3. 동아시아에서 다자적 외교의 주도적 역할이 그것이다. 한반도 이니셔티브의 성공적 수행은 중-일 관계, 미-중 관계가 우호적일 때 도움이 되겠지만, 역으로 한반도 문제에서 한국의 선택이 중-일 관계와 미-중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과감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