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통일기준 위계 연구

A Study on Hierarchy of the Integration Standard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textbook jargon

상세내역
저자 정종수
소속 및 직함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지 인문학논총
권호사항 39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51-57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통일 기준   #기준의 위계   #투명성   #경제성   #고유성   #일의성   #일관성   #국제성   #문법성   #생산성   #친숙성   #윤리ㆍ미학성   #정종수
조회수 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선행 연구 분석과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실례 분석을 통하여논리적 근거와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남북한 전문용어 통합에 필요한 10개기준의 위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위계를 설정하는 데 논리적 근거와 실증적 근거를사용하였는데, 우선 논리적 근거란, 기준의 필요성의 정도에 따른 것이다. 투명성과경제성을 가장 높은 위계에 둔 것은 학습 효과가 높기에 그런 것인데, 투명성이 의미의 적확성을 나타내어서 근간이 되는 것이므로 투명성의 위계가 경제성보다 더높다. 고유성은 한국 자존적 문제와 남북한 공히 선호한다는 이유로 높은 순위로설정되는데, 경제성과 고유성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위계로 두었다. 친숙성은 높은 학습 효과와 사용성 검증이라는 강점이 있으나 남북한의 친숙성이다를 수 있다는 약점이 있어서 4순위로 배치되었다. 일의성은 학습 효과를 높이고객관적인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으나 남북한 각각 다른 사전을 참고해야 한다는 약점이 있어서 5순위로 하향 조정된다. 일관성은 학문 내 체계성에서는강점이 있으나 용어 적용에 한정이 있다는 것에서 약점이 있다. 국제성은 범세계적인 학문을 추구하고 외국 학계와 교류해야 하는 측면, 복잡한 개념의 용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지만, 고유성과의 충돌ㆍ국어화된 발음ㆍ용례의 한정 등의 약점이 있다. 일관성과 국제성은 경우에 따라 상위 위계에앞설 수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생산성은 기초 용어로서 다른 용어를 파생시킬 수있다는 강점이 있지만, 고유성과 충돌하고 일관성과 겹치거나 충돌하고 생산성이많은 구성 성분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약점으로 꼽힌다. 윤리ㆍ미학성은저속한 용어를 삭제하고 미학이 느껴지는 용어를 권장한다는 측면에서 강점이 있지만, 실제 통합 작업에서는 거의 변별력이 없다는 것에서 약점이 있다. 실증적 근거는 남한어와 북한어에서 공통적으로 선정한 전문용어를 찾아서 그것과 경합한 용어들과 비교하며 선정에 적용된 기준의 빈도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남한어에서는‘투명성>고유성>경제성>친숙성>일의성ㆍ일관성>국제성’ 순으로, 북한어에서는 ‘친숙성>투명성ㆍ고유성ㆍ경제성ㆍ일의성ㆍ일관성> 국제성’ 순으로 나타나고, 이는 논리적 근거를 통한 위계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 두 가지 근거에 따라서 본고는 ‘① 투명성 ② 경제성, 고유성 ④ 친숙성 ⑤ 일의성 ⑥ 일관성 ⑦ 국제성 ⑧ 문법성 ⑨ 생산성 ⑩ 윤리ㆍ미학성’의 위계를 설정한다. 이 위계에 따라 기준을 실제 남북한통합 용례에 시험적으로 적용하였고, 위계에 어긋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