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재일코리안의 뿌리의식과 호칭 선택

The Consciousness on ‘Roots’ and Selection of Group Appellation : Case Study on Zainichi Koreans

상세내역
저자 김지영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발행기관 한국사회학회
학술지 한국사회학
권호사항 49(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81-217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재일코리안   #종족적 정체성   #뿌리의식   #호칭   #한류   #김지영
조회수 5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재일코리안은 식민지 역사라는 종족 집단의 형성 배경과 일본의 혈통주의 국적 부여 시스템의 영향으로 세대교체와 상관없이 ‘조국’과 뿌리를 인식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 놓여있다. 본 논문은 뿌리의식이란 개념을 통해 재일코리안의 종족적 정체성을 재조명하고 뿌리의식이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집단 호칭의 선택 문제를 분석하였다. 재일코리안의 집단 호칭 조사 내용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지난 10여 년 간 한류 붐과 북한의 일본인 ‘납치 사건’에 대한 일본 미디어 보도가 재일코리안의 한국과 북한에 대한 이미지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일코리안의 집단 호칭 선택이 미디어 이미지에 좌우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재일코리안의 역사의식이 강하게 반영된 ‘조선’을 포함한 호칭이 북한을 연상시킨다는 이유 때문에 의도적으로 호칭 선택에서 배제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판단할 때 일본 미디어 매체에서 투영되는 ‘조국’ 이미지의 대립은 의식적 차원의 호칭 선택과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호칭 선택 간에 긴장관계를 낳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호칭 선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재일코리안의 뿌리의식 역시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과정을 통해 한국이라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가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일본 미디어 매체의 영향을 받는 재일코리안이 증가하면 할수록 이들의 뿌리의식이 일본 사회에서 표상되는 이미지에 좌우되는 ‘약한’ 것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