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의 사회통제체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artime Social Control System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정일영
소속 및 직함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북한연구학회
학술지 북한연구학회보
권호사항 19(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39-262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한국전쟁   #사회통제체제   #휴전협상   #정일영
조회수 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쟁기간 북한에서 형성된 사회통제체제의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전쟁의 특성, 즉 전시파괴, 피점령의 경험, 그리고 휴전협상의 전개를 중심으로 전시 사회통제체제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한국전쟁 당시 북한지역에서 발생한 물적, 인적 피해는 애국주의 규범을 전사회적으로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두 번째로, 인천상륙작전 이후 연합군과 국군에 의한 피점령과 곧 이은 피점령지의 회복은 적들에게 동조한 '이적분자'들을 사회적으로 숙청하고 낙인찍음으로써 적(敵)과 아(我)를 구분하는 사회통제의 준거가 되었다. 세 번째로, 전선의 안정화 이후 2년 여간 지속된 휴전협상은 결과적으로 전시 사회통제체제가 북한사회에서 공고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한국전쟁이 종전이 아닌 휴전의 형태로 종료됨에 따라 전시에 형성된 사회통제체제의 성격이 북한사회에 내재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