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북한의 ‘사회주의완전승리’ 테제(이하 테제)와 경제노선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냉전기와 탈냉전기로 시기를 구분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정책비교 방법으로서 ‘대안체계’와 ‘7·1 조치’를 다루었다. 분석결과 테제는 주체사상을 이론적 토대로, ‘안보에서의 자위’를 대전제로, ‘경제에서의 자립’, ‘정치에서의 자주’가 전략적가치로 구성된 사회주의 발전전략이었다. 경제적으로는 생산력 발전을, 정치적으로는 공산주의 건설을 목적으로 하였다. 냉전기에는 공격적 발전전략으로 사회 전 분야에 적용되는 지배 메커니즘으로 작동되었으며, 탈냉전기에는 선군사상으로 재구성되어 수세적인 방어전략으로 전환되었다. 그 결과 정치적 측면에서 ‘수령제당국가 사회주의정치체제’는 고수된 반면, 경제적 측면에서는 ‘계획과 시장공존’의 ‘국가주도 계획시장 경제’로의 변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