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산업미술의 전개과정 고찰 : 1994~2015

Observations on the North Korean Design over 20 Years : 1994~2015

상세내역
저자 최희선
소속 및 직함 중앙대학교
발행기관 디자인연구소
학술지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권호사항 14(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7-7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주체미술   #산업미술   #디자인정책   #국가산업미술중심   #최희선
조회수 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요약) 연구배경 북한 산업미술(디자인)은 노동당의 문예정책과 경제정책의 접점에서 성장한 미술의 한 분야이다. 북한 산업미술은 21세기 초반부터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본 연구는 그 변화 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과거 20년간의 북한 디자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1994~2015 상반기 까지 북한 정기간행물에 소개된 디자인 기사와 관계 논설들을 조사하여 김정일, 김정은 두 지도자의 시대별로 내용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과거 20년간 북한의 산업미술 전개 과정을 설펴본 결과, 90년대 중반 북한 산업미술은 창작 규모가 축소되었고, 90년대 말 경제침체 극복과 체제강화를 위한 선전 포스터와 기념비 도안들이 중요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1세기 들어 북한 산업미술은 과학화, 기술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2010년을 기점으로 국가 산업미술을 통합하는 중앙디자인센터 설립정책을 추진하여 중앙의 지도·통제 및 심의·등록체계를 정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은 2012년 이후 정기 국가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는데, 2013년부터는 김정은의 지도로 창작된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었다. 또한 북한에서는 최근 평양을 중심으로 대규모 건설사업에 필요한 건축장식미술과 거리 간판도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결과 밝혀졌다. 결론 위의 고찰을 통해 필자는 북한 산업미술이 과거 20년 동안 규모면에서는 성장하였지만, 국가 주도로 수동적으로 성장함으로써 자국의 디자인시장을 구축하고 해외제품과 경쟁할 수 있는 질적인 성장을 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