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북조선 문학예술에 대한 연구는 여러 지평을 넓혀왔다. 하지만 북조선의 원본 자료 수집의 한계나 북조선 문학예술이 갖는 이념적 편향성 때문에 과거에 비해 상당히 위축되어 있는 것도 또한 사실이다. 마치 유행처럼 북조선 문학예술에 열광했던 때도 있기는 있었지만, 이젠 북조선 문학예술은 철따라 가끔 언급되는 잊혀진, 또는 주변부 문학예술로 남아 있는 듯하다. 이런 지금의 현실에서 북조선 문학예술을 연구한 의미 있는 2권의 저서가 출간됐다. 바로 김정은 시기 북조선 문학예술 연구의 한 성과인 『3대 세습과 청년지도자의 발걸음』과 북조선 문학사 연구의 한 성과인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이라는 공동 결과물이다. 해방 후 북조선 문학예술의 정리 또는 정전화 작업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렇게 북조선 문학예술을 새롭게 정리하던 시점에서 어떤 작품들을 선별하여 북조선의 정전으로 호명하는지에 대한 점검, 즉 정전의 소거와 소환을 통한 배치와 재배치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런 북조선 문학예술의 지형을 통해서 북조선이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즉 남한에 의해서 가려진 북조선의 욕망에 대한 복원 작업도 절실하다. 북조선이 가진 욕망의 복원을 통한 남한의 가려진 욕망의 실체도 파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작금의 현실에서 북조선 문학예술에 대한 총체적 점검 및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