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4세대 전쟁의 한반도 적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the Fourth Generation Warfare to the Korean Peninsula

상세내역
저자 최한수
소속 및 직함 합동군사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국방연구원
학술지 국방정책연구
권호사항 29(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3-149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전쟁   #미래전 양상   #4세대 전쟁   #신(新) 전쟁학파   #클라우제비츠   #최한수
조회수 21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군이 최근 관심을 갖고 있는 ‘4세대 전쟁’ 이론에 대해 고찰하고 과연 ‘4세대 전쟁’ 개념이 한반도의 특수한 안보환경에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하여 올바른 한반도 전쟁준비 방향을 제시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 ‘4세대전쟁’ 이론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전쟁양상을 제시하면서 국내・외적으로이목을 집중시켜왔고 특히, 한국의 경우 북한이 지금까지 자행해 온 도발양상과‘4세대 전쟁’ 이론이 제시한 전쟁양상이 유사성을 보이면서 국내에서도 북한의위협 대비와 맞물려 깊은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4세대 전쟁’ 개념을 도입하여 북한의 새로운 도발양상에 대한 대비를 촉구하였다. 하지만 ‘4세대 전쟁’에 대한 기존논의를 검토해 본 결과 많은 부분 논리적 과정이 결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반도에서 ‘4세대 전쟁’ 양상의 발생가능성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4세대 전쟁’을 개념화해야 하며 그 이후에 한반도 안보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면밀한 평가를 통해 한반도의 ‘4세대전쟁’ 가능성을 논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과정에 충실하여 최초 ‘4세대 전쟁’을 개념화했다. 하지만 ‘4세대 전쟁’은 자체가 지니고 있는 한계 때문에 개념화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4세대 전쟁’ 이론과 유사한 접근방법을 보이는‘신(新) 전쟁학파’와 연계하여 개념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4세대 전쟁’개념이 포함된 ‘신(新) 전쟁학파’의 개념을 한반도의 특수한 안보환경을 고려하여 면밀히 평가했다. 그 결과 ‘4세대 전쟁’은 한반도에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제한사항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