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관련 언론 보도, 특히 통일과 북핵 이슈를 다루는 언론 보도 메시지의 해석 수준 속성의 차이가 수용자의 기존 태도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여 통일에 대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했다. 수용자의 기존 태도가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는 북한 관련 이슈에서, 통일과 북핵 위험에 대한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인식에 따라 언론 보도 메시지의 해석 수준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지 실험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통일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추상적인 메시지보다는 구체적인 메시지가 통일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데 반해, 통일에 대한 추상적인 보도는 시간 거리감 인식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북핵의 위험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멀게 인식하는 경우보다 북핵을 구체적으로 보도하는 메시지가 전쟁위험 인식을 높이는 반면, 북핵을 추상적으로 보도하는 메시지는 북핵 거리감 인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이 구체적인 메시지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여론 형성 및 저널리즘에서 갖는 함의를 논의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