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2000년대 이후 통일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ircumstance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since 2000

상세내역
저자 박찬석
소속 및 직함 공주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지 초등도덕교육
권호사항 (4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1-18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남북통일   #통일교육   #상호이해   #자유   #평등   #민족 통합   #박찬석
조회수 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우리 정부는 2014년 연초부터 통일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그러한 입장은 자유민주주의 통일론인데, 이는 상당한 시간이 지나야 접근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그럼에도 우리 정부는 북한 사회를 통일로 가게 하는 것이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 정권, 체제가 곧 붕괴되는 듯한 입장에서 통일을 희망하고 있다. 현실과 희망의 괴리를 안고 우리의 통일교육은 남북 통합을 지향하면서, 학생들과 통일 관련 토론을 하고 남북한 주민의 생활을 이해하는 활동을 기초로 하는 교육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통일교육 관련 교사는 통일을 추구하는 모습 속에서 교실을 생기 넘치는 실천 교육장으로 만들겠다는 의지가 보여야 한다. 그래서 남북한의 관계가 소원해 지고 남북한의 적대적 행위가 노골화되어 북한에 대해 불신하는 과정에서도 학생들에게 통일 지향적 방법과 해결책을 모색해 주어야 한다. 이제 우리 학교는 분단을 뛰어넘는 통일로의 중심을 잡고 진척하는 통일교육적 노력이 요구된다. 즉, 우리의 통일교육은 북한에서 실시하는 북한식의 통일논리를 극복하고 우리의 우월성 주장에만 강조하는 통일교육을 넘어 진정한 자유, 평등, 상호 이해, 민족 통합을 위한 진정한 통일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의 통일교육은 더욱 더 가능하고 실현가능한 통일 방향을 계속 모색하여야 한다. 그것이 통일교육을 활성화 하는 길이며, 어렵지만 민족 통일로의 진행을 진척하게 하는 방향이 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