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한국사회 초기 적응 태도에 대한 연구 -정치사회화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arly adaptation attitude of the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political socialization

상세내역
저자 박석동
소속 및 직함 양성초등학교
발행기관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학술지 미래청소년학회지
권호사항 11(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5-69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이탈가정 아동   #정치사회화   #권위   #복종   #박석동
조회수 17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60년 이상 다른 정치체계를 유지해 온 한국과 북한은 민족적 동질성마저 미약해지고 있다. 이 상황에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증가와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남북통일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한국사회 초기 적응 태도를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3개월간 S초등학교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116명을 직접 관찰하였고, 교직원 7명과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은 권위에 의존하려는 타율적 태도를 보였다. 교사를 권위의 대상으로 생각하며 의존적인 태도를 보였고, 개인 중심의 생활에 부담을 느끼며 불안해하였다.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표현하지 못하였고, 권위자의 지시를 자신의 의사보다 중시하였으며, 학급 선거 등 자치활동에서는 참관자로 행동하였다. 집단중심 가치로 정치사회화 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이 S초등학교에서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을 겪으면서 개인중심 가치에 동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이는 북한이 정치체계 유지를 위해 개인가치보다는 집단가치를 중시하여 주민들을 정치사회화한 결과가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감시와 통제 속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주입식 정치사회화 과정을 조기부터 경험하여 자율적이지 못한 태도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국의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게 하려면 학생 자치활동 등 한국의 민주시민 교육을 강화한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한국 적응을 돕는 정치사회화 자료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