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일본 아베 정부의 보수 우경화 원인 분석: 동아시아 정책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Causes of Abe Regime's Right-wing Conservatism: Focus on East Asia Foreign Policy

상세내역
저자 홍성후
소속 및 직함 충북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동북아학회
학술지 한국동북아논총
권호사항 19(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5-6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아베 신조   #보수 우경화   #보통국가   #중국 위협론   #동아시아 정책   #미일동맹   #홍성후
조회수 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과의 관계 악화가 명약관화한 데도 불구하고 일본의 아베 정부가 왜 보수 우경화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했다. 이는 일본 정치권과 국민들의 보수 우경화 경향을 주요원인으로 꼽을 수 있겠지만, 본 연구는 일본의 국제환경과 아베총리의 개인적 우경화 성향에서 그 원인들을 찾아보고자 했다. 특히 필자는 일본의 보수 우경화를 가장 우려하는 우리나라와 중국이 속한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속에서 아베정부의 대외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원인을 찾는다. 두 가지 분석 초점을 바탕으로 아베 정부의 동아시아 대외정책을 중국, 한국, 북한, ASEAN 순으로 분석하였다. 일본은 중국의 급속한 성장과 군사력 증강을 일본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했다. 즉 중국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호혜관계’를 맺어야 할 동반자지만, 영토분쟁지역인 센카쿠열도와 관련하여 보여준 위협적인 행동들처럼 지속적으로 일본을 위협할 수 있는 존재로 본다. 따라서 일본은 중국의 위협에 대비해 자국의 군사력을 증강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헌법 개정을 통해 군대를 보유한 보통국가가 돼야 한다. 즉, 지난 날 미일동맹에만 의지하던 안보를 한 차원 발전시켜 일본의 자주국방을 실현 시켜야 한다. 이에 아베 정부는 미일동맹을 바탕으로 군사력을 강화하고,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정책에 편승하여 미국과 함께 중국을 견제 및 봉쇄하려 한다. 또한 동시에 북한의 핵위협과 중국의 위협을 구실로 군대를 보유하는 보통국가가 되려고 한다. 무장된 ‘보통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 따라서 아베정부의 보수 우경화 정책은 헌법 개정을 위한 국내 정치적 분위기를 만드는 핵심적 정책으로 보인다. 결국, 아베 정부의 동아시아 정책의 핵심은 중국의 패권주의적 팽창을 억제 및 봉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북한의 위협을 명분으로 삼아 미일동맹과 군사력을 강화하고, ASEAN 국가들과 연대하여 중국을 억제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 일본의 보수 우경화 정책은 아베 정부의 현실주의적 국제인식에서 비롯된 정치적 수단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필자는 아베정부의 의도적 보수우경화 정책이 장차 일본을 위해서도, 또한 국제 정의로도 옳지 않다고 판단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