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한국 고등학생의 타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태도 연구 - 경기도 학생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Attitude toward other Races and Ethnic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상세내역
저자 유종열
소속 및 직함 공주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학술지 사회과교육
권호사항 53(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1-59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인종   #민족   #태도   #고정관념   #정의적 태도   #사회적 거리감   #유종열
조회수 1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인종 및 민족 집단들에 대한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그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학교 교육이 지향해야할 방향을 제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안다’고 인식하는 것과 ‘좋아 한다’고 느끼는 것은 다른(아는 것이 많다고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것이다. 둘째, 인지적 태도는 백인→흑인→일본인→북한인→중국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의적 태도는 백인에 대해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흑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적 태도는 백인→북한인→흑인→중국인→일본인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정의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 간의 상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타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올바른 태도 형성을 위해서는 의미있는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둘째, 인종과 민족 집단에 따라 다른 태도 특성이 나타나므로 이들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비교육적 집단의 요구에 의해 타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형성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며, 넷째, 타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태도 개선을 위해서는 인문·사회과학적 접근뿐만 아니라 자연과학적 접근이 합쳐진 융합적 접근을 해야 한다. 다섯째,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타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편견을 제거하고 다문화적 관점을 가지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