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북한의 문화어에 방언이 수용된 것은 1960년대 중엽 이래 말다듬기 사업 및 문화어 운동이 전개된 데 따른 것이다. 둘째, 문화어에 수용된 방언 어휘는 대체로 고유성, 통용성, 민족성, 인민성, 시의성, 수용성을 갖춘 토착어로서, 문화어의 어휘 구성을 풍부화하고 문화어의 민족적 특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것들이다. 셋째, 문화어의 방언 수용은 우리말의 고유성과 다양성, 민족성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문화어로 수용된 방언 외의 지역 방언의 사용을 철저히 배제한 것은 근본적인 한계이다.
In this article, I have discussed the acceptance of dialects in the North Korean standard language, Munhwa-eo. The key takeaways are presented below. Firstly, the acceptance of dialects in the North Korean standard language, Munhwa-eo, was a result of the speech refinement and Munhwa-eo movements that started in the mid-1960s. Secondly, the dialect vocabulary incorporated into Munhwa-eo is generally indigenous words that feature uniqueness, commonness, ethnicity, peopleliness, timeliness, and acceptability, which can enrich the lexical composition of Munhwa-eo and enhance its ethnic characteristics. Thirdly, the acceptance of dialects as Munhwa-eo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preserving the uniqueness, diversity, and ethnicity of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trictly excluding the use of regional dialects other than those accepted in Munhwa-eo is a fundamental limitation.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