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유엔기구의 대(對)북한 접근의 시사점: UNDP와 FAO/WFP를 중심으로

Relations between UN Agencies and DPRK: Implications of UNDP and FAO/WFP Cases

상세내역
저자 조한승
소속 및 직함 단국대학교
발행기관 평화문제연구소
학술지 통일문제연구
권호사항 26(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5-6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국제기구   #북한   #유엔개발계획(UNDP)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계획(WFP)   #두만강유역개발사업   #조한승
조회수 2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북한과 국제기구와의 교류는 제한적이지만 UNDP와 FAO/ WFP 등 일부 유엔기구는 북한 내부에서 여러 가지 사업을 벌여왔다.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UNDP의 두만강개발계획은 북한을 포함한 관련 국가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공동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UNDP가 사업의 주도권을 개별 국가로 전환시킨 이후 사업의 추동력이 약화되고 국가들 사이의 이해관계가 충돌하여 결국 북한의 사업 탈퇴를 초래했다. 한편 FAO/WFP는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을 지속하고 있으며 북미관계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북한과의 관계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사업의 범위가 인도적 지원에 국한되고 재정적으로 미국의 후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북한의 변화 및 한반도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가져다주지는 못했다. 따라서 국제기구를 통한 한반도 문제 접근을 위해서는 국제기구의 주도성이 유지되어야 하고, 국가의 적극적 참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성격과 수준의 사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장기적 계획이 요구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