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적으로 보는 古朝鮮에 대한 논의는 기원전 1000년기에 중국 동북지역부터 한반도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琵琶形銅劍文化를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원전 1000년기 전·중엽의 비파형동검문화는 대능하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十二臺營子文化, 요동반도의 崗上類型, 요동 북부~길림성 중남부의 二道河子類型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이 기원전 9세기경 대능하 중류지역에서 발생한 十二臺營子文化인데, 기원전 8~7세기경에는 대능하 상류지역으로 확산하며, 기원전 6~4세기에는 요동의 심양·요양지역까지 파급된다. 이 시기의 비파형동검문화를 典型琵琶形銅劍文化로 부를 수 있다. 필자는 이 중 대·소능하유역의 十二臺營子文化와 여기에서 분지된 심양·요양지역의 鄭家窪子類型을 古朝鮮과 관련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요동반도의 崗上類型을 “發”로 비정하였다. 기원전 1000년기 후엽에 이르면, 중국 동북지역의 琵琶形銅劍文化에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다. 가장 큰 변화는 中原文化의 확장과 琵琶形銅劍文化의 급격한 쇠퇴 및 變形琵琶形銅劍文化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요동지역의 變形琵琶形銅劍文化는 요동반도 ‒ 심양지역의 尹家村類型, 요동 북부 ‒ 서북한지역의 上堡類型, 길림성 중부의 西荒山屯類型으로 구분된다. 尹家村類型은 중원문화적 성격이 강하게 가미된 점을 감안하면, 戰國~秦·漢代의 遼東郡과 관련될 것이다. 그리고 재지적 성격이 강한 上堡類型과 西荒山屯類型은 각각 秦開 침입 이후의 古朝鮮 및 衛滿朝鮮, 그리고 扶餘와 관련될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