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북한 관련 정보가 범람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북한 관련 정보를 독점적으로 생산하고 있지만, 그것을 수용하는 미디어이용자의 인식을 파악하여 대북 정책 발전을 위해반영하는 노력은 전무한 상태이다. 즉, 현재 대북정보는 공급자만 있을 뿐 후속 연구에 대한 관심은 적어 새로운 정책 제안 활성화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북한 정보 습득 경로와 대북관심 내용을 파악하여 대북 정보를 생산 혹은 전달하는 미디어의 특징과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북한 정보에 대한 미디어 습득 경로, 신뢰도,북한에 대한 관심과 태도, 관심 이슈 등을 질문하고,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이용자를 포함한소셜 미디어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의식을 파악했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미디어영향력이 여전히 높지만, 종편 TV와 포털사이트의영향력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디어의 신뢰도와이용도는 균등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다. 셋째, 온라인 공간에서 이념 구도가 변화하고 있다. 넷째,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계층이 증가하고 있다. 다섯째, 경성 이슈(hard information) 중심으로 여론이 형성되고있으며, 한편으로 상호교류에 대한 관심도 높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북한에 대한 적대 의식 약화와 다양한 미디어에서의 정보 생산 및 토론이 필요하다는것을 강조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