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사회주의 민법의 채권양도와 채무인수

The Transfer of Claim and Takeover of Obligation in The Socialist Civil Law

상세내역
저자 김영규
소속 및 직함 백석대학교
발행기관 법학연구소
학술지 법학논총
권호사항 38(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01-13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채권양도   #채무인수   #사회주의 민법   #채권의 양도성   #북한 민법   #김영규
조회수 27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은 민법의 제정을 위한 제1초안 당시부터 채권의 총칙과 관련해서 채권양도와 채무인수를 다루고 있었으며, 1990년 9월 5일 제정된 현행 북한 민법도 제3편(채권채무제도) 제1장(일반규정) 에서 ‘채권채무의 양도’라는 부제(副題) 아래 한 개의 조문(동법 77조)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행 북한 민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1964년 러시아 민법은 사회주의 민법의 전형으로서 제18장 ‘청구권의 양도 및 채무의 이전이라는 독립된 장에서 채권양도와 채무인수를 보다 상세히 규정한 바 있으며(동법211조-216조), 북한의 민법이론도 민법 제정 전부터 채권양도와 채무인수를 채권법의 주요 주제로 다루고 있었다. 또 같은 사회주의 민법으로서 1986년과 1999년에 각각 제정된 중국의 민법통칙과 계약법(동법 77조-90조)은 채권양도와 채무인수에 대하여 자본주의 민법의 요소도 다수 수용하고 있다. 그간 북한민법이 이들 두 나라 민법을 점증적으로 따라왔음을 감안할 때,1964년 러시아 민법, 중국계약법과 북한 민법의 채권양도와 채무인수의 비교연구는 이를 토대로 남북한 민법의 그것을 비교함으로써 향후 북한 민법의 방향과 우리 민법에의 접근 및 수용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데에 중요한 토대가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사회주의 민법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1964년의 러시아 민법의 채권양도와 채무인수가 어떻게 규율되고 있었는가를 검토하고, 자본주의적 요소를 수용하고 있는 중국 민법의 그것에 대하여 살펴본 후, 그 중간에 위치한 북한 민법의 태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 후 이를 토대로 같은 사회주의 민법이면서도 각 민법 사이에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 검토한 후, 이 분야에 대한 남북한 민법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함으로서 양자 사이의 접근 및 통일 민법에의 수용가능성과 그 한계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