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중국의 대북한 외교정책 기조와 전략: 중국 지도부의 인식과 정책선호도를 중심으로

China’s Foreign Policy Orientations and Strategies toward North Korea: Focus on Domestic Policy Priorities & Perceptions of Chinese leaders

상세내역
저자 홍석훈
소속 및 직함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정치정보학회
학술지 정치·정보연구
권호사항 17(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3-145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중국의 대북정책   #북중관계   #중국 지도자의 인식   #중국의 대북한 정책선호도   #안보   #정체성   #경제적 번영   #홍석훈
조회수 4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중국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국가이면서,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유지정책(Pivot to Asia)과 맞물려 중국은 이 지역 패권다툼을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북한이 핵개발을 통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안보질서를 긴장시키는 상황 하에서 중국으로서는 북한이 전통적 혈맹 관계라 하더라도 큰 부담으로 여겨지고 있다. 2011년 12월 김정일의 갑작스런 사망은 어린 김정은을 북한 지도자로 올려놓았지만 북한 국내 정치뿐만 아니라 북한의 대외정책에도 많은 의구심을 가지고 했다. 또한 지난 12월 친중파로 불리는 북한의 장성택 숙청이 북중관계를 더욱 경색시킬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한다. UN의 경제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개발을 통한 서방세계와의 줄다리기를 멈추지 않고 있으며, 중국의 대북한 정책은 동아시아 정세변화와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 군사적 대립관계에 결정적 영향력을 주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국의 대북한 외교정책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한반도와 동아시아 정세에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보다 정확하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