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北韓 土地制度의 變化와 文學的 形象化의 變轉 -土地改革에서 農業協同化로의 제도적 變移와 그에 대한 文學的 再現 樣相을 中心으로-

Change of Land System and Transformation of Literary Figuration in North Korea -Focusing on Institutional Transition from Land Reform to Agricultural Cooperation and Its Literary Recapitulation Pattern-

상세내역
저자 이만영
소속 및 직함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학술지 어문연구(語文硏究)
권호사항 42(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77-30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李箕永   #땅   #土地改革   #私有   #千世鳳   #석개울의 새봄   #農業協同化   #이만영
조회수 1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本稿는 李箕永의『땅』과 千世鳳의 『석개울의 새봄』을 基本 텍스트로 삼아, 土地改革과 農業協同化 政策의 小說的 再現 樣相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땅』은 1946년에 단행된 土地改革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면서, 토지의 私的 所有權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노출하고 있다. 반면 『석개울의 새봄』은 1953년에 단행된 農業協同化 정책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면서, 토지의 공유화를 指向하고 있다. 대다수의 小作人들에게 사적 소유권을 인정해주었던 土地改革의 단행 시기와 그 사적 소유권을 철회했던 農業協同化 조치의 시행 시기는 불과 10년도 채 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두 작품은 土地改革에서 農業協同化로 이어지는 제도적 변화를 농민들이 感覺的으로 受容할 수 있게끔 하는 데 기여하였다. 本稿는 두 作品을 통해 北韓의 土地所有權 槪念이 어떻게 移行하고 있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北韓의 土地政策 移行 過程 속에서 나타나는 농민들의 認識論的 龜裂을 읽어내고자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