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청소년들의 과외체육소조 활동의 변화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North Korean adolescents' Physical Sojo activities

상세내역
저자 현주, 김동선
소속 및 직함 경기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체육사학회
학술지 한국체육사학회지
권호사항 19(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9-17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North Korean Youth   #Physical Sojo Activities   #sports popular   #현주   #김동선
조회수 24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청소년 체육의 대중화, 생활화 정책의 대표적인 활동인 청소년들의 과외체육소조활동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945년 정권 초기부터 1950년까지 1차 태동기, 1953년 한국전쟁 이후부터 1974년까지 2차 태동기로 보았다. 이 시기에 북한 정권은 청소년 체육의 대중화, 생활화 정책을 시도하였지만 성공하지는 못하였다. 북한 청소년의 과외체육소조활동이 본격적으로 발달했던 시기는 1975년에 11년제 전반적의무교육 실시로 청소년들의 학교 집단생활이 강화된 시기부터 1994년 고난의 행군 이전까지로 보았다. 북한 정권은 모범체육군, 모범체육학교 칭호 수여, 각종 체육대회를 장려하였기 때문에 학교뿐만 아니라, 도, 시, 군 등에서도 과외체육소조활동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있었다. 그러나 1994년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 정권이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면서 학교에 대한 지원이 감소되었다. 이에 따라 북한 청소년들의 과외체육소조활동은 경제력 있는 학생 중심인 자본주의, 개인주의적 성향이 나타나면서 사회주의 체제와는 거리가 있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현재 이러한 북한 청소년 과외체육소조활동의 변화는 집단주의적 사회주의 체제 문화에서 이해하기는 어렸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