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보도 시각이미지 분석에 따른 한국의 국가이미지 측정

Study of Evaluation Measurement of Korea National Image Depend on Visual Image Analysis Factors

상세내역
저자 김은선
소속 및 직함 강원대학교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학술지 브랜드디자인학연구
권호사항 12(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79-288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보도 시각이미지   #국가이미지   #이미지 측정   #김은선
조회수 27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미지는 시간과 정보의 흐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국가 또한 시대와 관계적 변화에 따른 꾸준한 성장과 도약을 위해 지속적인 국가이미지 파악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국가이미지 형성의 변인으로 언론이 제시하는 보도 시각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증적인 국가이미지의 실상과 부각되는 한국의 이미지 속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국가이미지와 보도 시각이미지 노출 빈도의 관계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자이퉁, 프랑스의 르피가로를 대상으로 2011년 1월 1일∼12월 31일까지 검색어에 따른 70개의 한국관련 이미지를 수취하고 선정한 분석 요인에 따라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어 경제 분야는 긍정적인 국가이미지의 중심 요인이며 영향력 있는 분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북한에 대한 보도 이미지가 전체 35.7%로 국제사회에서 북한은 여전히 관심 대상국이며 국제관계 형성에 중요한 상대임을 알 수 있다. 경제, 사회, 외교의 상징적 이미지뿐 아니라 대중 문화인과 스포츠 선수 또한 국가 상징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1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는 선진 스포츠 문화 강국으로 평가 받으며 이미지 변화 가능성과 긍정적인 국가이미지 형성의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분석 대상 이미지 중 단 1건 뿐으로 언론보도에 효과적 역할과 영향성에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문매체에 보도된 시각이미지를 통해 국외에서 바라보는 현시점의 국가이미지 단면을 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심 요인과 변화되는 경쟁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