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강 엷은재첩, Corbicula papyracea (Heude) 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Freshwater Marsh Clam, Corbicula papyracea (Heude) in Bukhan River

상세내역
저자 김대희, 이완옥, 이준상
소속 및 직함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발행기관 한국패류학회
학술지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권호사항 30(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07-11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Reproductive ecology   #Marsh clam   #Brood pouch   #Corbicula papyracea   #김대희   #이완옥   #이준상
조회수 9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강에 서식하고 있는 엷은재첩의 산란생태를 파악하기위하여,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군성숙도, 난경의월별변화를 조사하였다. 각장에 대한 각고, 각폭, 전중, 육중간의 상대성장식에서 상관계수 (R2) 는 0.921-0.984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엷은재첩은 기수재첩 보다는 소형종이었으며, 동시자웅동체로서 체내에서 수정되어 아가미 보육낭에서부화되어 체외로 방출하는 난태생종이었다. 월별 비만도는0.14-0.21 범위로 동계인 12월-2월에 낮은 값을 보이다가 2월부터 서서히 높아지기 시작하여 5월에 0.21로 정점을 보였다. 월별 육중량비는 25.9-38.7%로 비만도의 월별 변화와 같은경향을 나타내었다. 비만도와 육중량비의 정점이 생식세포의최성숙기와 1-2개월 차이가 있었다. 생식소의 조직상, 비만도및 생식세포의 월별 변화를 종합하면 북한강산 엷은재첩 생식년주기는 분열증식기(12-2월), 성장기(2-5월), 성숙기(6-8월), 완숙 및 발생기(8-11월), 회복기(11-12월) 로 구분되어 하계산란종이었다. 군성숙 각장은 12.6 mm 였으며, 16 mm 이상의개체는 모두 성숙하여 아가미에 보육낭을 형성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