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산림황폐화 중심 북한 토지황폐화 연구는 현상 일부분만 고려하고 있으며, 토지황폐화 문제의 복잡성을 반영하지 못했다. 정규화식생지수(NDVI)는 생태계의 생산량을 반영하는 지표로, 산림황폐화를 넘는 전반적인 토지황폐화 문제를 다루는 데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에서는 MODIS NDVI와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황폐지를 도출하는 ZEF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수도권 지역의 개발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적절한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2001년부터 2020년까지의 북한과 한반도의 토지황폐지 지도를 도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남한에 비해 북한의 토지황폐지 비중이 분명하게 높으며, 휴전선 일대와 북-중 접경지대에서 그 부분이 도드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황해남북도 재령평야 일대의 토지황폐지 군집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산림파괴 중심의 선행 연구 결과와는 분명히 다른 농업과 식량압박 관련 황폐화가 포착되었다. 이 연구는 북한 토지황폐화의 통합적 지표를 위한 시도로써 보완의 여지가 있지만,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토지와 환경관리를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Previous studies on land degradation in North Korea have focused primarily on deforestation, neglecting other aspects of land degradation and failing to capture the complexity of the issue. This study utilizes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 indicator of ecosystem productivity, to examine land degradation beyond deforestation. This study employed the ZEF method to extract land degradation areas using MODIS NDVI and precipitation data. Optimal parameters were selected by comparing with land-use plan in Seoul, Incheon, and Gyounggi-do. Land degradation maps of North Korea and the Korean Peninsula were generated for the period 2001–2020. The results indicate that North Korea ha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land degradation compared to South Korea and Northeast China, with particularly severe degradation observed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and the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Additionally, clusters of land degradation were identified in the Jaeryeong Plain in Hwanghaebuk- do and Hwanghaenam-do. This study highlights land degradation associated with agriculture and food stress, which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deforestation. While this study provides a preliminary attempt to develop an integrated indicator of land degradation in North Korea, it offers a new perspective for sustainable land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