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조선족 동포의 신문 읽기에 나타나는 어휘 양상 분석 중국의 한글 신문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lexical aspect in Newspaper reading of Korean Chinese Centering on Korean newspapers of China

상세내역
저자 임옥규, 신호철
소속 및 직함 단국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독서학회
학술지 독서연구
권호사항 (3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5-62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어휘 교육   #중국 조선어   #조선어   #한국어   #중국 한글 신문   #임옥규   #신호철
조회수 7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고는 중국 동북 3성 지역의 8개 신문사의 한글 신문 최신 기사를 대상으로 중국 조선어의 어휘 사용 양상을 조사하여 중국 조선족의 어휘 사용실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중국 조선족들의 한국어 어휘교육에서 어휘 목록 선정에 일조할 수 있으며, 한국어와 중국 조선어의 어휘적 간극을 좁혀 중국 조선족들의 한국 현지 생활에서 오는 읽기 활동의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중국 조선족은 중국 조선어, 북한 조선어, 한국의 한국어를 복합적으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중국 조선어가 전통적으로 북한의 조선어의 영향만 받다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어를 대거 수용하면서 중국 조선어 내의 사용 어휘가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 것이다. 이러한복잡한 양상을 띠는 중국 조선어 어휘 사용 양상을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어휘 사용과 표기에 있어서 중국 조선어의 신어휘를 사용하는 경우,한국어 어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 한국어 저빈도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 북한의 조선어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 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중국 조선어 내의 외래어는 복수로 표기하거나 한국어 표기법과 전혀 다른외래어 표기를 하고 있는 것도 따로 분류하였다. 먼저 중국 조선어의 신어휘를 사용하는 경우는 의미를 추론하여 알 수있는 어휘와 의미를 추론할 수는 있으나 그 의미가 모호한 경우, 의미 예측이전혀 불가능하여 문맥적으로도 의미 해석이 불가능한 어휘로 구분할 수있다. 둘째 한국어 어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는 한국어의 어휘조선족 동포의 신문 읽기에 나타나는 어휘 양상 분석 61의미와 완전히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어휘, 어휘가 표시하는 의미는유사하지만 그 의미가 지시하는 대상이 달라 의미 제한에 위배되는 어휘,사전적 의미의 기본 의미는 비슷하지만 사용 범위를 달리하는 어휘들로구분하였다. 셋째 한국어 저빈도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는 한국어서는 의미가 거의 사라져 가거나 아니면 자주 사용되는 의미로만 고정되어 가고 있는어휘인데, 중국 조선어에서는 이들 어휘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경우이다. 넷째 북한 조선어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미 잘 알려진 북한 조선어어휘들과 북한의 맞춤법 규정에 따라 사용하는 어휘들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 조선어의 외래어 표기는 신문사마다 각기 다르게 표기하고있다. 대체로 한국어의 예사소리나 거센소리를 된소리로 표기하는 경향이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거나, 중국 조선어내의 외래어 표기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음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