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사회는 우리에게 많은 물음을 던지고 있다. 남북한 통일문제는 그와 같은 물음과 관련이 깊은 핵심적 영역 가운데 하나이다. 실제로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는 남북한 통일의 주체, 통일 필요성의 이유와 근거 뿐만 아니라 통일문제의 본질적 의미에 관한 진지한 고민과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가 우리의 통일담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살펴보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특히 다양성과 통합의 가치를 지향하는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이 통일담론의 방향과 내용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남북한 통일을 어떻게 성취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통일담론의 핵심이라고 보고 이와 관련하여 남북한 통일의 주체, 남북한 통일 필요성의 논거, 남북한 통일과 사회통합의 관계 등을 검토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서 남북한 통일은 더 이상 같은 민족 구성원들만의 문제가 될 수 없다. 그 보다는 인종적 문화적 하위집단과 그 구성원들 또한 남북한 통일과정에 동참할 수 있는 행위자의 일부로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은 민족적 동질성에 기초한 통일담론의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민족 중심의 폐쇄적이고 편협한 관점이 퇴조하는 대신에 남북한 통일문제를 새로운 지평에서 조망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문화 사회에서의 통일담론은 남북한 통일문제의 본질이 과거로의 단순한 회귀나 민족의 재결합이 아니라 다문화 사회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다양한 집단과 구성원들의 통합의 실현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