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을 바라보는 한국 영화의 시선‒간첩의 서사적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Perspective of Korean Movies about North Korea‒Focused on Narrative Role of Spy

상세내역
저자 송치만, 백일
소속 및 직함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인문학연구원
학술지 통일인문학
권호사항 59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63-28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기호학   #이데올로기   #간첩   #서사적 역할   #<베를린>   #<은밀하게 위대하게>   #<간첩>   #송치만   #백일
조회수 3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국 영화에서 북한이 어떻게 표상되는가?’ 에 대한 연구는 통시적 관점에서 변화 양상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필연적으로 수많은 텍스트를 수집, 분석해야하기에 직관적 차원에서 감지할 수 있는 표층적 변화만을 볼 수밖에 없었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영화가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에 주목한다. 그러나 변화의 연대기적 기술보다 구체적인 개별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영화 속 이데올로기를 규명한다. 가장 최근의 관점을 확인하기 위해 2014년 1월을 기점으로 최근의 작품인 <간첩>, <은밀하게 위대하게>, <베를린>을 서사-기호학적 이론으로 분석한다. 세 영화는 유사한 서사구조를 갖는다. 주체의 결핍 양상이나 서사적 역할들에 내재된 이데올로기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남한과 북한을 대변하는 요원들을 묘사하는 방식이 매우 차별적이다. 인간과 비인간의 대립, 개인의 가치와 집단의 가치의 대립을 통해 남한의 우월성과 북한의 열등함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체제의 신화화 과정을 서사-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신화를 해체함으로써 수용자들은 단순한 동정과 온정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이는 북한과 남한의 인격적인 공생을 위해 중요한 한 걸음이 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