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에서는 미중의 대립관계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동시에, 일본의재무장, 러시아의 동북아지역에 대한 관심과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제조와 보유에 대한 문제가 항상 큰 이슈 일 것이다. 중국의 강대국화에 대비한 미국의 중국 봉쇄정책도 꾸준히 이어질 것이다. 중국의 꾸준한 경제성장과 국력신장은 중국대외정책의 발전과 외교력의 신장을 보였다. 이번 시진핑 주석의 방한은 중국외교의 새로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국은 중국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한반도의 안정과 중국과의 관계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또한, 중국은 성숙된 외교를 펼치며 한국 국민에 다가가려는 노력도 경주했다. 앞으로 한반도의 안정과 발전은 한국이 어떻게 한미관계, 한중관계 및남북한관계를 이끌어가는가에 달려있다. 한중관계의 발전과 한미관계의공고화는 한국이 지켜야할 양대 축이다. 또한, 어떻게 남북한 관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경제적 성장의 축을 만들고 한반도의 평화를 통해 능동적 대처를 할 수 있는 힘을 배양할 필요가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