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한진의 희곡 <나무를 흔들지 마라>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

A Study on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Korean Han Jin’s Play <Don't Shake the Tree>

상세내역
저자 송재일
소속 및 직함 공주대학교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학술지 어문연구
권호사항 8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89-208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한진   #고려인 문학   #민족 정체성   #<나무를 흔들지 나라>   #한국전쟁   #송재일
조회수 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논문은 고려인 한진이 한국전쟁을 소재로 모국어로서 창작한 <나무를 흔들지 마라>를 통하여 민족 정체성을 어떻게 무대화하는지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망명객이자 변경의 지식인인 한진은 자기가 소속된 사회에서 적응하려는 노력과 동시에 모국어로 작품 활동을 하였다. 그가 무대 위에서 모국어를 사용하는 행위는 민족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시도이다. 이 희곡의 무대인 ‘큰 나무 한 그루’는 공동운명체인 한반도와 한민족의 화합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이 희곡에서 ‘나무’를 흔드는 ‘외세’에 대한 비판을 발견하게 된다. 작가는 남한이 미국을 보호자로 여겨 그와 의존 관계를 맺어 피식민화되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이 희곡에 등장하는 지구의와 고려자기는 조선이 하나의 땅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민족의 혼이 담긴 유물이라는 점을 환기시켜 공동체의식을 갖도록 한다. 한진은 <나무를 흔들지 마라>에서 한국어와 한국의 역사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 희곡을 통해 형성되는 민족 정체성은 민족이 분단되기 이전에 가지고 있던 남북한은 ‘형제’이며 ‘하나의 민족’이라는 의식이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근원 상실과 잃어버린 뿌리를 찾는 것으로 한진이 한반도 출신의 망명 작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추적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