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백두산 화산 폭발시 화산성 지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피해예측: 백두산 인근지역부터 국내 서울지역까지

Damage Estimation of Masonry Building by Volcanic Earthquake of Mt. Baekdu: From Nearby Area of Mt. Baekdu to Seoul in Korea

상세내역
저자 백은림, 김정현, Xiuming Cui, 오상훈, 이상호
소속 및 직함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발행기관 국제지역연구센터
학술지 국제지역연구
권호사항 18(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03-328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백두산 화산   #화산성 지진   #지진취약도   #조적조 건축물   #피해 예측   #백은림   #김정현   #Xiuming Cui   #오상훈   #이상호
조회수 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 백두산 화산 폭발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화산 폭발시 예상되는 피해를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백두산 화산이 폭발할 경우, 그로 인한 화산성 지진이 발생하게 되고 이 지진에 의해 백두산 인근 지역 및 원거리에 위치한 국내의 서울·인천 지역까지도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백두산 인근지역은 중국 길림성 및 북한북부 근처로 지진에 취약한 구조형식인 조적조 건축물이 주로 건축되어져 있어 화산성 지진발생시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피해는 동북아 국제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화산성 지진으로 인한 조적조 건축물의 피해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화산폭발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화산성지진의 거리감쇠에 따른 거리별 도달 지진 강도를 예상하고, 그에 따른 조적조 건축물의 피해정도를 예측하였다. 중국 및 국내 조적조 건축물의 지진취약도 함수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손상정도에 따른 피해확률 및 피해금액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규모 8 이상의 화산성 지진이 발생할 경우, 백두산 근교의 조적조 건축물은 대부분이 파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백두산으로부터 약 500km 가량 떨어진 국내 서울지역에서도 조적조 건축물에 경미한 손상이 다수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