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사회적 정체성으로서의 민족 정체성은 자아를 규명하고, 지식·신념·행위의 준거가 되며 다양한 심리·사회적 순기능을 지닌다.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에 드러난 것처럼, 통일교육은 그 자체로 민족 공동체와 깊은 관련을 지니며, 민족정체성의 확립은 통일 의지의 확립과 깊은 관련을 지닌다. 민족 정체성 확립을 중심으로 한 통일교육은 교과 교육과 창의적 체험 활동과 연계해야 하며, 더불어 인지·정의·행동의 통합적 접근을 도입, 진행, 마무리 단계별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민족 정체성 확립을 통한 통일교육 교수전략은 세계화·정보화 추세와 분단의 장기화, 전후(戰後) 세대로의 교체를 배경으로 청소년들의 민족의식을 확고히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남북한의 이질성을 극복하고 민족 정체성과 동질성을 회복함으로써 민족의 통일과 내적 통합을 준비하기 위한 의의를 지닌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