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다중언어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

The Role and Status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 Multi-lingual Society

상세내역
저자 권순희
소속 및 직함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학술지 우리말연구
권호사항 (39)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2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방언으로서의 한국어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모국어로서의 한국어   #표준 한국어   #언어의 다양성   #언어 생태계   #경제적 생산 도구   #권순희
조회수 9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다중언어 사회의 국내외 한국어를 세분화하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방언으로서의 한국어,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모국어로서의 한국어 등이 있다. 다중언어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은 통일 정책, 이민 정책,한국어 세계화 정책, 다중언어(다문화) 정책 등과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을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은 언어의 다양성이라는 언어 생태계의 보존 차원에서중요하다. 둘째, 경제 생산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언어로서의 한국어의위상이다. 셋째, 국가 공동체 내에서 의사소통의 효율성, 국가 통합이라 는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의 위상을 생각해야 한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학교 교육 차원의 지원은 말할 것도 없고, 언어 공동체의 통합을 지향하기 위해 표준 한국어에 대한 연구와 다양화된 한국어에 대한 연구가 병행 되어야 한다. 둘째, 평생교육 차원에서 한국어 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북한이탈주민의 증가, 역이민의 수요자 증가 등 성인의 유입으로 보건대 평생교육 차원의 한국어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생활 한국어뿐만 아니라 직업 한국어, 문화 한국어 등의 평생교육적 지원을 위한 교육 기관의 확보와 교사 양성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다중언어 사회의 변화와 그 역사가 축적되어 감에 따라 한국어의 다양화와 한국어의 사회 문화적 변화를 대비하는 한국어 교육의 연구와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동안 개인의 책임 또는 언어학적 능력의 관점에서 주로 보는 인지적 접근 방식으로 한국어 및 한국어 교육의 성과가 축적되었다면 이를 보완하여 사회 언어학적 관점의 한국어 및 한국어 교육의 위상을 생각하며 미래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