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대규모 아사사태가 있었던 90년도 중후반부터 많은 북한 주민들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넘어 중국으로 탈북하였다. 이때부터 탈북자들과 중국 및 북한의 밀수업자들을 통하여 남한의 한류가 북한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90년대 말부터 시작한 한류는 갈수록 북한 내에서 더 확산되고 있다. 지금은 북한 젊은이들이 말투, 의복, 노래와 춤에 이르기까지 남한식 유행을 만들어 낼 정도로 광범위해졌다. 이러한 한류의 영향들이 북한사람들의 인식변화에는 어떠한 역할을 했고, 향후 통일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본 논문은 연구한다. 특별히 탈북자들 가운데 청소년·청년층 50명, 장년층 50명을 선발하여 전체 10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고, 북한의 한류 영향력을 두 세대로 나누어 비교 조사했다. 또 동서독 통일과정에서 서독미디어의 영향력이 동독주민들의 인식변화와 통일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것을 비교분석하면서 북한 내 한류가 통일에 미치는 영향과 한류를 통한 통일전략에 대해 제안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